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비대면 소비문화가 확산하면서 국내 배달 앱 사용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시행으로 음식점들이 오후 9시 이후 영업을 못 하게 되고, 프랜차이즈 커피숍 실내 사용이 금지되면서 배달앱 사용량은 더욱 많이 증가했습니다.
배달앱 중 특히 ‘배달의 민족’이 부동의 1위를 지키는 가운데 ‘쿠팡이츠’와 ‘위메프오’ 등 후발주자들이 공격적인 프로모션으로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높이면서 배달 앱들의 ‘고객 모시기’ 전쟁이 한층 더 뜨거워지고 있기도 합니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8월까지 1년간 국내 배달 앱(안드로이드 OS 기준) 사용량을 분석한 결과 ‘배달’ 카테고리 앱의 월간 사용자수(MAU)는 지난해 8월 1,058만4,651명에서 올해 8월 1,322만1,554명으로 약 25%(263만6,903명) 증가했습니다. 1인당 월평균 앱 사용시간도 같은 기간 1.03시간에서 1.28시간으로 늘었습니다.
주요 앱 중에서는 딜리버리히어로의 ‘배달의 민족’이 MAU·사용시간·사용일수 등 모든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배달의 민족은 올해 8월 MAU 1,066만539명을 기록하면서 2위인 요기요(531만2,477명)와의 격차를 2배 이상 벌렸고, 그 뒤를 이어 쿠팡이츠(74만8,322명), 배달통(27만2,757명), 위메프오(17만5,414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써 지난해 배달의 민족 운영사 ‘우아한 형제들’을 인수한 ‘딜리버리히어로’는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을 합쳐 총 1,267만703명(중복 사용자 제외) MAU로 사용자 점유율 97.4%를 기록했습니다.
배달의 민족이 1위를 확고히 하는 가운데 후발주자인 쿠팡이츠와 위메프오도 코로나19로 인한 배달 열풍과 적극적인 할인 마케팅 덕분에 신규 이용자 수를 빠르게 늘리며 업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쿠팡이츠의 8월 MAU는 전년 동기 대비 약 4배 증가했고, 위메프오도 같은 기간 약 7배 늘었습니다. 특히 쿠팡이츠의 경우 올해 7월 일 평균 신규 사용자 수 2만명을 돌파했고, 1인당 월평균 앱 사용시간에서 0.61시간을 기록하며 요기요(0.5시간)을 제치고 배달의 민족(1.1시간)에 이어 2위에 올랐습니다. 위메프오가 0.28시간으로 뒤를 이었고, 배달통 이용시간이 0.19시간으로 가장 적었습니다.
이밖에 실제 사용률을 확인할 수 있는 총 설치기기 대비 사용자 수(사용률)를 분석한 결과 배달의 민족이 81.41%로 1위를 차지했고, 위메프오(63.23%), 쿠팡이츠(61.03%), 요기요(59.59%), 배달통(28.21%)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나카워니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발생률 최상위권인 ‘대장암’ 정의, 예방법, 조기검진, 증상, 치료방법은? (0) | 2020.09.16 |
---|---|
현대산업개발 아시아나항공 인수 결국 무산, 아시아나항공 노딜 향후 전망은? (0) | 2020.09.14 |
정우성이 제작하고, 공유 배두나 이준이 출연하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고요의 바다’ (0) | 2020.09.10 |
3기 신도시 등 공공택지 사전청약 일정, 자격요건, 청약방법 및 홈페이지 (0) | 2020.09.09 |
추석 열차 예매, KTX는 9월 8~9일, SRT는 9월 15일, 좌석은 창가쪽만 가능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