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지면서, 항공사들이 백신 수송경쟁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백신은 낮은 온도에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저온 유통체계, '콜드체인' 기술이 관건인데, 국내 항공사들도 저온을 유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등을 확보하며 해외 항공사들과의 경쟁에 대비하고 있는 것 입니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백신을 한국에 공수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콜드체인(저온 유통)’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 취급이 까다로운 화물로 여겨지는 제약품은 유통 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된다면 변질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최근 미국 화이자가 개발 중인 코로나 19 백신은 영하 70도에서 보관되어야 하고 모더나가 개발 중인 백신도 영하 20도에서 저장되어야 합니다. 다만 국내 항공기 콜드체인은 평균 온도가 5도에 맞춰져 있어 코로나 19 백신 수송을 위해서는 더 낮은 온도로 운송할 기술력과 설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콜드체인은 결코 쉬운 유통법이 아닙니다. 국제항공화물협회 등의 최근 설문 조사에 따르면 총 132개 응답 기업 중 15%만이 섭씨 영하 80도 이하의 온도로 유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을 정도입니다.
국가별로도 콜드체인 인프라 구축은 차이가 있습니다. 외신들은 아프리카 등 콜드체인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백신이 유통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니세프 등 국제기구들이 아프리카의 저소득국가에 4만 개 이상의 냉장 시설을 구축하는 등 백신 보관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글로벌 유통사들은 백신 유통에 대비한 콜드체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합니다. 외신에 따르면 화이자는 백신 유통을 위해 초저온 보관이 가능한 특수 보관 용기를 개발했고 이를 활용해 유통량을 늘릴 계획이구요. 또 미국 미시간 주의 캘러머 주 카운티 지역, 벨기에 푸르스 지역에 대형 냉동 시설을 구축해 유통의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UPS와 DHL 등 대형 특송 회사들도 콜드체인(의약품)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는데요, UPS는 네덜란드와 미국 각각 1개소에 약 4만8000개의 냉동 시설을 구축했고 DHL도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 새로운 냉동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콜드체인 인프라로 주목받는 것은 항공사입니다. 해운이나 육상 화물보다 훨씬 수송이 빨라 의약품 수송에 제격이기 때문인데요. 또 멈춰 버린 여객 수요로 사실상 화물 수송으로 버티는 상황에서 백신과 진단 키트 등 의약품 수송은 ‘신성장 동력’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코로나19 백신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운영하고 있는데, 코로나19 백신 개발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백신이 출하됐을 때 신속히 운송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또 대한항공은 이미 인천국제공항 화물 터미널에 화물 약 100톤을 수용할 수 있는 1292㎡ 규모의 냉동·냉장 장비와 시설을 보유 중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온도 조절이 가능한 850㎡ 규모의 냉동 창고를 보유하고 있고, 인천화물서비스터미널에 특수 컨테이너 충전 시설 등을 확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6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로부터 항공 화물로 의약품을 운송할 수 있는 국제 표준 인증(CEIV Pharma)을 취득하며 의약품 수송 전문성을 인정받았습니다. IATA는 의약품 운송 절차와 보관 시설, 장비·규정 등 280여 개 항목을 평가해 기준을 충족한 항공사·물류 관리 업체에 인증서를 발급합니다.
콜드체인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비단 백신 때문만은 아닙니다. 콜드체인 시장 규모는 2018년 2030억 달러(약 224조3760억원)였지만 2023년까지 2930억 달러(약 323조8530억원)로 연평균 7.6%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콜드체인은 물류사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최근 물류 분야에서 급성장한 기업들의 공통점은 탁월한 콜드체인 시스템을 갖췄다는 것 입니다.
수송 품목이 확대되고 활발한 해외 직구 등으로 향후 콜드체인 물류는 더욱 각광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콜드체인 관련 산업은 신선식품과 의약품뿐만 아니라 페인트·화훼·가공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어 물류 시장에서 부가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나카워니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10일 폐지되는 공인인증서 제도, 바뀌는 점과 사용 방법은? (0) | 2020.12.03 |
---|---|
세계 1위 CRM 소프트웨어 회사인 세일즈포스는 왜 30조원에 슬랙을 인수할까? (0) | 2020.12.02 |
코로나19 정부 소비쿠폰 중 외식쿠폰 배달앱 사용은 가능할까? (0) | 2020.11.27 |
2020년 타임(TIME)지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발명품 100가지 사진과 리스트 (0) | 2020.11.26 |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 가입 안 한 채널에도 광고 게재, 광고 수익은 어떻게? (0)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