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도 뛰고 전세가격도 뛴다고 하는데 집 살 돈은 언제 어떻게 모을지 막막한 사람들이 대부분인데요. 우선 기본적으로 ‘주택청약이 필수’이니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있어야 할 거에요. 부동산 열풍이 2030을 포함한 전 세대에게 중요한 문제인데요.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시대입니다. 그 중 2030 세대들을 위한 청년들을 위한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1석3조 상품입니다. 특정한 조건을 갖춘 청년들에게 청약권은 물론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과 우대금리 혜택까지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2018년 7월31일부터 판매중인 상품입니다. 가입대상은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청년들인데요. 가입 당시 연소득 3000만원 이하인 근로소득자 또는 종합소득금액 2000만원 이하인 사업소득자 조건이 있습니다. 직전연도에 신고한 소득이 연 3000만원을 넘거나 소득이 아예 없을 경우 가입할 수 없고, 무주택 세대주 등 조건도 필요합니다.
이같은 조건들을 갖췄다면 청년들은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청약기능과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면서 재테크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먼저 10년간 납입원금 5000만원 한도로 저축할 수 있는데 우대금리를 모두 받을 경우 연 최고 3.3% 금리를 적용받게 됩니다. 이는 일반 청약통장 금리보다 1.5%p(포인트) 높은 수준입니다. 납입한도인 5000만원을 다 넣어뒀다고 가정하면 연 최대 75만원(세전)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것 입니다.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비과세 혜택도 있습니다. 2년 이상 통장을 유지하고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 3000만원 이하의 근로소득자 또는 종합소득금액 2000만원 이하인 사업소득자가 비과세 신청을 할 경우 납입금액 연 600만원 한도 내에서 이자소득 500만원 한도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형 주택청약저축의 청약권 부여·연말정산 우대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소득세법상 총급여액이 7000만원 이하인 무주택세대 세대주에게 연간 납입금액 240만원 한도로 연간납입금액의 40%인 최대 96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시중은행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은행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면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에 가입할 수 있는데요, 청년 가입자들에게 경품을 주는 은행 이벤트 정보를 찾아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조건만 갖출 경우 다른 상품보다 훨씬 좋은 혜택들이 많은 저축상품”이라며 “재테크와 향후 내집마련을 위한 준비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mmon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극한알바 와 꿀알바 1위는? 그리고 아르바이트 검색 브랜드 순위 (0) | 2021.01.07 |
---|---|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 (0) | 2021.01.04 |
논란 많았던 초대 공수처장 후보 ‘김진욱’은 누구? (0) | 2020.12.31 |
한전 전기요금 기습개편, 2021년 확 바뀐다! 할인 줄고 요금 증가 예상 (0) | 2020.12.18 |
저소득층 구직자 월 50만원씩 총 300만원 주는 구직촉진수당 대상은?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