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on interest

‘링링’보다 강할 수 있는 8호 태풍 ‘바비’, 예상경로 바람세기 강수량

긴 장마 기간 폭우가 휩쓸고 간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이번엔 8호 태풍 '바비'가 빠르게 올라오고 있습니다. 제주도를 시작으로 전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게 된다고 하는데요. 특히 지난해 엄청난 강풍을 몰고 왔던 태풍 '링링'보다 세력이 더 강할 것으로 보여서 대비를 단단히 해야할 것 같습니다.

현재 일본 오키나와 북서쪽 해상에 있는 제8호 태풍 '바비'는 서해상을 따라 북진하며 '링링'과 비슷한 경로를 보이고 있습니다. 태풍 '바비'는 26일 오후 제주 서쪽을 지나 서해상으로 진입한 뒤 다음날인 27일 오전 서울에 가장 근접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은 8호 태풍 '바비'가 25일 제주도 남쪽 해상으로 북상해 수요일인 26일 제주도 서쪽을 지난 뒤 서해상으로 이동하고 27일에는 북한 황해도에 상륙해 내륙을 지나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특히 26일에는 중심 최대풍속이 시속 162km가 넘는 강도 '매우 강'의 태풍으로 발달해 '링링'의 위력을 넘어설 걸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태풍의 강도는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에 따라 5단계로 분류되는데, '강'은 열차가 탈선할 수 있고, '매우 강'은 사람이 날아갈 정도의 강풍입니다.

태풍의 강도는 26일 오전 3시 '매우 강'에 달했다가 27일 오전 3시 다시 '강'이 될 전망입니다.  강도가 '매우 강'일 때 최대풍속은 시속 162km(초속 45m)로 예상됩니다.  기상청은 지난 5월 태풍 특보를 개선해 '초강력' 등급을 신설했습니다. 이에 따라 태풍 강도 등급은 '중', '강', 매우 강', '초강력'으로 운영됩니다.



'초강력' 등급은 최근 10년간 발생한 태풍의 상위 10%에 해당하는, 중심 부근 최대 풍속 시속 194㎞(초속 54m)에 달하는 태풍입니다. 다만 기상청은 이번 '바비'가 초강력 태풍으로 발달한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상청은 태풍 발생 지점과 우리나라로 북상하는 사이에 간격이 짧고 남쪽 해상을 경유해 북쪽 해상으로 진출할 때 급격히 낮아지는 수온과 만나 매우 강한 상태가 유지되다가 점차 약화할 것"이라며 "초강력 태풍까지 발달하긴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태풍의 고비는 26일 오후부터 27일 오전 사이로 제주도와 전라 서해안에는 최고 시속 216km의 강풍이 예상됩니다. 제주도와 지리산 부근엔 100에서 300밀리미터, 제주도 산지엔 500㎜ 이상의 많은 비가 예보됐습니다.

제주도에 가장 가까워지는 시점은 26일 오후이고 서울에 가장 근접하는 때는 목요일인 27일 오전으로 예상합니다.  이에 따라 25일 밤 제주도부터 시작해 27일까지 전국이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만,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상층 고기압의 규모 등에 따라 진로가 변할 여지는 있다고 기상청은 밝혔습니다.

태풍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요일(26일) 밤부터 목요일(27일) 사이 제주도와 전라 서해안을 중심으로 매우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도와 전라 서해안의 최대순간풍속은 시속 180∼216km(초속 50∼60m), 그 밖의 서쪽 지역과 남해안의 최대순간풍속은 시속 126km(초속 35m)로 분석됐습니다.
   
바람의 세기가 초속 40∼60m면 사람이 걸어 다닐 수 없는 정도이고 시설물이 바람에 날려 붕괴하거나 부서질 수 있습니다. 특히 초속 50m 이상이면 바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재난이 가능한 풍속입니다.


태풍의 우측 반원에 우리나라가 속하기 때문에 그 피해는 장담하기가 어려우며 태풍이 우리나라를 관통하는 경우보다 오히려 전역에 더 많은 비와 더 강한 바람이 불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정부는 '링링' 때보다 태풍 피해가 클 수 있다고 보고 위기 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대응에 나섰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특히 강풍에 대비해 수산·항만시설 안전관리와 낙하물 관리를 강화하고 정전대비 긴급복구반을 구성·운영하는 등 피해 예방 조치와 긴급복구 지원체계를 유지하도록 했습니다.  또 지난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사전 점검하고, 이재민 주거·대피시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강화도 주문했습니다.